지식 한 스푼

[6월20일 디깅퀴즈] 지진의 세기, 무엇으로 측정할까?

케이랭킹 2025. 6. 20. 01:30
반응형

 

 

👋 이웃을 추가하시면 매일 유익한 정보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오늘의 디깅퀴즈!

다음 중 에너지의 절대적인 크기를 나타내며

지진의 세기를 측정하는 데 사용하는 척도는 무엇인가요? 🌍🌡️

출처 입력

  1. 리히터 규모
  2. 세기 척도
  3. 습도 지수
  4. 풍속 등급

🌏 지진이란 무엇인가요?

 

지진은 지구 내부에서 일어나는 에너지의 급격한 방출로 인해

지각이 흔들리는 현상을 말합니다.

 

우리나라처럼 비교적 지진 발생이 적은 지역에서도

최근엔 간헐적으로 규모 있는 지진이 발생하며

경각심을 갖게 되었죠. 🧭💥

 

이처럼 지진은 예고 없이 발생하기 때문에

그 규모와 영향을 빠르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지진의 강도는 어떻게 측정할까?

 

지진의 '강도'를 말할 때

두 가지 주요 척도가 있어요.

 

1️⃣ 000규모

2️⃣ 계기 진도 또는 체감 진도(Intensity)

 

‘ooo 규모’는 지진이 발생한 순간

지구 내부에서 방출된 에너지의 절대량을 측정한 수치입니다.

 

즉, 에너지의 ‘양’을 수치화한 것이죠.

반면, ‘진도’는 특정 지역에서 느낀

지진의 ‘세기’ 혹은 ‘피해 정도’를 의미해요.

 

같은 리히터 규모의 지진이라도

진도는 지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


🔬 ooo 규모란 무엇인가요?

 

미국의 지질학자 찰스 리히터가 개발한 이 척도는

지진파의 크기를 기록한 지진계 데이터를 바탕으로

로그(log) 스케일을 적용해 측정해요.

 

예를 들어,

규모 5.0의 지진은 규모 4.0보다 약 32배나 더 큰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따라서 수치가 1 올라갈 때마다

에너지 크기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죠.

 

이런 특성 덕분에

지진 연구와 대응에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습니다. 🔎📐


🌐 우리나라에서의 활용

 

대한민국도 2016년 경주 지진(규모 5.8)과

2017년 포항 지진(규모 5.4)을 겪으면서

지진에 대한 국민의 경각심이 커졌어요.

 

지진 발생 시,

기상청과 관련 기관은 ‘리히터 규모’와 ‘진도’를 함께 발표해

국민들이 상황을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돕고 있어요. 📢📱


📚 다른 선택지는 왜 아닐까?

 

  • 세기 척도는 명확한 과학적 단위가 아니며
  • 지진과 관련된 공식 용어는 아닙니다.
  • 습도 지수는 대기의 습한 정도를 측정하는 기상 정보이고요. 🌫️💧
  • 풍속 등급은 바람의 세기를 분류하는 단위로,
  • 태풍이나 강풍 시에 사용되죠.

 

따라서 지진의 절대적인 에너지 양을 측정하는 척도는

‘리히터 규모’가 맞습니다.


오늘의 정답: 1. 리히터 규모

 

지진이 발생했을 때 뉴스에서

"규모 4.5의 지진이 발생했습니다"라고 할 때의 '규모'가

바로 이 리히터 척도입니다.


👋 이웃을 추가하시면 매일 유익한 정보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디깅퀴즈 #6월20일퀴즈 #지진정보 #리히터규모 #지진측정

#자연재해상식 #과학정보 #재난안전 #기초상식 #환경지식

 

반응형